Apps101을 시작합니다.
이번 글은 Apps의 처음 사용자를 위한 안내서, Apps101 과정의 첫번째 글입니다. 이글에 이어 다른 글들도 이어서 읽어 보세요.
- 프로젝트 작업 공간, 워크스페이스 만들기
- 워크로드 배포를 위한 공간, 서비스맵 만들기
- Nginx 배포하기
- Nginx 를 외부로 노출하기
- Nginx에 볼륨(스토리지) 연결하기
- Tomcat을 Nginx에 연결하기
- MySQL 배포하기
- Tomcat 이미지로 빌드하여 배포하기
- Nginx-Tomcat-MySQL을 템플릿으로 저장하고 배포하기
워크스페이스란?
Apps 이용을 신청하여 계정을 발급받으면 로그인 할 수 있는 관리자 계정과 요청된 상품에 따른 기본 클러스터가 준비되어 있습니다. 이 클러스터 자원을 여러 개의 프로젝트가 함께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 바로 이 작업 공간이 워크스페이스입니다.
각 워크스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독립된 환경을 갖게 됩니다.
- 클러스터 자원
- 빌드 환경
- 컨테이너 이미지 리지스트리
각 워크스페이스마다 작업을 함께 할 구성원들을 등록하여 접근 권한이 있는 인원만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사용자는 접근권한만 있다면 여러개의 워크스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Apps에서 배포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은 워크스페이스 내에서 배포할 수 있습니다.
워크스페이스 만들기
STEP 1. 시스템 사용자 추가하기
워크스페이스를 만들기에 앞서 사용자를 등록하겠습니다. Apps 계정을 처음 만들었다면 사용자가 등록되지 않았을 겁니다. Apps를 사용할 수 있는 전체 인원을 등록하고, 등록된 인원들 중에 선택해서 워크스페이스에 배정하게 됩니다. 이미 사용자를 등록하였다면, STEP 2. 워크스페이스 생성하기로 건너 뛰세요.
시스템 관리자로 로그인 하기
사용자 생성 및 워크스페이스 생성은 관리자 계정에서만 가능합니다. 시스템 등록 후 Apps팀으로 부터 받은 시스템 관리자 계정으로 Apps 로그인 화면에 접속합니다.

[그림. Apps 로그인]
시스템 사용자 추가하기
좌측 메뉴중 ‘Management’ > ‘시스템’ 을 선택하면 등록된 시스템 정보와 시스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시스템 사용자 영역에서 ‘사용자 추가’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팝업이 나옵니다.

[그림. 시스템 사용자 등록 팝업]
- 권한 :
‘관리자’와 ‘사용자’ 권한중 선택 할 수 있습니다.
등록할 사용자의 이름, 아이디(보통 email 형식), 권한 (‘사용자’ 권한 선택), 설명을 입력후 ‘생성’ 버튼을 눌러 사용자를 등록하세요.
STEP 2. 워크스페이스 생성하기
좌측 메뉴중 ‘Management’ > ‘워크스페이스’ 를 클릭하면 워크스페이스 관리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시스템에 등록된 워크스페이스 목록이 나오며 우측 상단의 ‘워크스페이스 생성’ 버튼을 눌러 다음과 같은 워크스페이스 생성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

[그림. 워크스페이스 등록 화면]
- 색상 :
워크스페이스를 화면에 노출할 때 사용할 색상을 선택하시면 됩니다.
- 이미지 레지스트리 : ex) biz-dev-regi
빌드 이미지가 저장될 이미지 저장소의 이름 입니다.
워크스페이스별로 빌드 메뉴가 존재하며 해당 메뉴에서 워크로드 배포에 사용될 이미지를 빌드 할 수 있습니다.
워크스페이스내의 빌드된 모든 이미지들은 ‘이미지 레지스트리’로 입력된 이름의 저장소에 등록 됩니다.
워크스페이스에 맞는 의미있는 이름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
- 클러스터 추가 :
‘클러스터 추가’ 버튼을 누른후 사용할 클러스터를 선택 하시면 됩니다. 특별히 퍼블릭 클라우드를 추가 하지 않았다면 시스템에 기본으로 등록된 1개의 클라우드만 노출 될 것입니다.

[그림. 클러스터 추가 화면]
- 구성원 추가 :
‘구성원 추가’ 버튼을 누르면 구성원 추가 팝업이 보여지고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 리스트가 보입니다. 워크스페이스에 추가할 사용자를 선택후 ‘적용’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.
각 항목이 모두 입력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될 것입니다.

[그림. 워크스페이스 입력 완료]
이어지는 다음 글에서는 네임스페이스의 리소스와 워크로드를 관리 할 수 있는 워크로드 배포를 위한 공간, 서비스맵 만들기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.
댓글을 남겨주세요